2023년이 되면 변화하는것 중 많은 분들이 관심가지는게 최저임금 시급 입니다. 아르바이트 알바 등 최저 시급적용을 받으면 그만큼 월급이 변동되게 됩니다. 2023년 최저임금, 주휴수당 월급 실수령액 계산 정보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으로 2022년 9,160원과 비교하여 5%인상되었습니다.
이 최저임금은 2023년 1월 1일 0시부터 적용되어 근로자에게 지급해야하는 최저시급 입니다.
역대 최저임금 변동 내용입니다.
년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최저임금 | 8,590원 | 8,720원 | 9,160원 | 9,620원 |
2022년과 비교해 46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기준중위소득 분위(50%,47%,40%,30% 확인방법)
2023년 최저시급 주휴수당
주휴수당이란, 주15시간 일하는 경우 해당 기간동안 개근하면 8시간분의 임금을 추가로 더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최근 주휴수당 폐지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아직은 주휴수당이 적용 됩니다.
주 40시간으로 근무하는 최저임금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은 9,620원x8시간=73,280원입니다.
주 40시간 주후슈당 9,620x8시간=73,280원
만일 주휴수당을 포함하여 구인구직 알바등 공고가 올라온다면 73,280원/40시간= 1,924원이 최저시급과 포함되어 그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즉, 주휴수당 포함 1시간 당 시급은 9,620원+1,924원=11,544원입니다.
주40시간 미만 근무일 경우에는 실 근무시간에서 40시간을 나누어 계산해야 합니다.
(근로시간/주40시간)x8시간x시급
주 15시간이라면 (15/40시간)X8시간x9620원=28,860원이 됩니다.
이렇게 16시간,17시간, 35시간, 30시간, 25시간, 19시간, 20시간, 24시간 등에 따라 주휴수당 금액은 달라집니다.
2023년 차상위계층 기준 (복지로 확인방법 신청방법 소득 재산 조건)
2023년 최저임금 월급
주40시간을 근무한다면 주휴수당(유급휴일)이 포함된 통상 근로시간은 총 209시간이 됩니다.
주5일 근무할경우 209시간을 적용해 급여가 계산됩니다.
즉 2023년 최저임금 월급은 9,620원x209시간=2,010,580원 으로 계산 됩니다.
2023년 최저월급 = 9,620원 x 209시간=2,010,580원
최저 월급을 적용한 최저 연봉은 주 40시간 기준으로 약 24,126,960원이 됩니다.
2023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
월급 실수령은 국민연금 등 4대 공제 요율에 따라 변동 됩니다.
국민연금 등 월급 4대 공제 항목 요율표입니다.
구분 | 국민연금 | 건보 | 장기요양 | 고용 |
요율 | 9% | 7.09% | 12.81% | 1.8% |
사업주 부담 | 4.5% | 3.545% | 50% | 0.9% |
근로자 부담 | 4.5% | 3.545% | 50% | 0.9% |
해당 요율과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을 바탕으로 예상되는 실수령액 입니다.
세전월급 | 국민연금 | 건강 | 장기요양 | 고용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공제합계 | 월급 실수령액 |
2,010,580원 | 90,476 | 71,275 | 9,130 | 18,095 | 19,850 | 1,990 | 210,816 | 1,799,764 |
2023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은 약 1,799,764원 정도가 됩니다.
대략적으로 계산해본 금액으로 비과세 공제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 최저임금,주휴수당 월급 실수령액 계산 정보에 대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2023년 기초연금 수급자격(선정기준액),지급금액 확정 정보
2023년 기초연금 수급자격(선정기준액),지급금액 확정 정보
2023년 기초연금 수급자격인 선정기준액 조건이 보건복지부에서 확정 되었으며 23년부터 기초연금 수급자격에 해당되는 독거,부부가구 분들은 기초연금을 매달 일정한 지급금액으로 받을 수 있
jamgwen.tistory.com
만 65세 이상 혜택 복지 정보 조회하기
2023년부터 만 65세가 되는 분들은 1958년 이전 출생자들이 해당이 됩니다. 만 65세가 되면 보건복지부 등 다양한 정부 정책 지원 대상자가 되기도 합니다. 만 65세 이상 혜택 복지 정보 조회하기에
jamgwen.tistory.com
소득인정액 계산법(주거급여,기초연금,생계급여 간편계산기)
소득인정액 계산법(주거급여,기초연금,생계급여 간편계산기)
다양한 복지 혜택 등을 신청 할때는 나의 소득인정액에 따라 인정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거나 탈락 하거나 합니다. 소득인정액은 복지 정책마다 차이가 있으며 소득인정액 계산법(주거급여,기
jamgwen.tistory.com